맥(Mac)을 사용하면서 아이패드(iPad)나 다른 맥 기기와의 연동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유니버셜 컨트롤은 정말 유용한 기능이다. 마우스 커서 하나로 여러 기기를 넘나들며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함은 한 번 경험하면 헤어나오기 어렵다. 필자는 아이맥과 맥북프로를 유니버셜 컨트롤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. 근데 잘 작동하다가도 가끔씩 작동이 안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. 아래 방법과 같이 확실한 해결 방법을 찾기 전까지는 정말 이런 상황이 발생할때 마다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였다.
유니버셜 컨트롤, 도대체 왜 안되는거야?
유니버셜 컨트롤은 애플 기기 간의 연속성을 담당하는 기능 중 하나로, 기기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. 이 통신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유니버셜 컨트롤이 작동을 멈출 수 있다. 일반적으로 방화벽 설정이나 애플 계정의 인증 문제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.
아직까지는 필자도 정확히 원인이 뭔지 모르겠다. 인터넷에서 검색해도 나와 같은 문제를 겪은 사람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.
TheTipsyRooster's comment on "Universal Control stopped working after macOS 13.3 / iOS 16.4 update"
Explore this conversation and more from the MacOS community
www.reddit.com
유니버셜 컨트롤 문제 해결 가이드
유니버셜 컨트롤이 갑자기 작동하지 않을 때 시도해 볼 수 있는 두 가지 해결 방법을 그동안의 시행착오를 기반으로 정리했다.
1. 방화벽 설정 확인 및 앱 등록
때로는 방화벽 설정이 유니버셜 컨트롤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. 방화벽이 특정 앱의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, `유니버셜 컨트롤.app`이 허용 목록에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.
- 시스템 설정을 열고 `네트워크`를 클릭한다.
- `방화벽`을 선택한다.
- 방화벽 `옵션` 버튼을 클릭한다.
- 들어오는 연결 차단이 활성화되어 있다면, 아래 목록에 `유니버셜 컨트롤.app`이 추가되어 있고 `들어오는 연결 허용`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.
- 만약 목록에 없다면 `+` 버튼을 눌러 `/System/Library/CoreServices` 경로에서 `유니버셜 컨트롤.app`을 찾아 추가한 후 들어오는 연결 허용으로 설정한다.
- 설정을 변경했다면 맥을 `재부팅`한다.
2. Apple 계정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 (가장 확실한 방법)
이 방법은 유니버셜 컨트롤 문제 해결에 있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.
- 시스템 설정을 열고 왼쪽 상단의 [사용자 이름] (Apple ID)을 클릭한다.
- 가장 아래로 스크롤하여 `로그아웃` 버튼을 클릭한다.
- 로그아웃 절차를 완료한다. 이때 iCloud 데이터 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는데, 일반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기기에 유지하는 것을 권장한다.
- 로그아웃 후 다시 [사용자 이름] (Apple ID)을 클릭하여 Apple 계정에 재로그인한다.
- 재로그인 후 맥을 재부팅한다.
대부분의 경우 이 두 번째 방법을 통해 유니버셜 컨트롤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. 필자 또한 여러 차례 이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.
마무리하며
유니버셜 컨트롤은 맥 사용자에게 엄청난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능이다. 갑작스러운 작동 중단에 당황하지 말고 위에서 소개한 두 가지 방법을 차근차근 시도해 보길 바란다. 필자처럼 OS 재설치와 같은 우를 범하지 말자~
'Ma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ac] 부드러운 마우스 스크롤, Mos 를 알아보자 (2) | 2025.08.17 |
---|---|
[Mac] 무료 GIF 변환 프로그램, Gifski (2) | 2025.08.04 |
[Mac] 맥북 잠자기, 왜 자꾸 깨어나는 걸까? (1) | 2025.07.26 |